요즘 금리가 높다 물가가 높다 많이 들어보셨죠?
그렇다면 금리가 오르면
경기가 침체되고, 주식은 내려간다는 말도 들어보셨을까요?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2.5%
미국의 기준금리는 3.25%
먼저 우리는 금리에 대해 잘 이해해야 합니다.
금리란?
돈에 대한 이자
은행에 적금을 넣었을때의 이자율을 뜻하기도 하고,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을때의 이자율을 뜻하기도 합니다.
금리가 오르면 은행에 돈을 넣는 예금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금리가 올라 이자율이 높아지면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들은 줄어들겠죠?
그럼 시장에서 돌아다녔던 현금 (통화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사람들이 현금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아주 쉽게 생각해보세요.
내 주머니에 돈이 없다?
그럼 절대적으로 소비가 감소하게 되겠죠?
이자율이 높아지고 있는데 내가 지금 현금이 없으니까 대출을 받아야겠다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겠죠?
큰 기업들을 예로들어 볼게요.
어느 회사가 새로운 사업을 실행해야 하는 이유로 큰 돈이 필요로 한 경우라 가정해볼게요.
금리가 높아지면 ( 높은 은행 이자율 )에 부담을 느끼기 때문에 해당 기업은 신사업을 실행하거나
잘 되가고 있던 기존사업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기가 어려워지는거죠.
그럼 사업실적이 정체되지 않겠어요?
그럼 회사의 주가를 천천히 하락세를 타게 된다는 거예요.
심각해지면,, 구조조정 (해고)를 하게 될 수도 있겠네요.
이렇게 금리가 인상 되면 사람들은 안전 자산을 선호하게 되는 구조인거예요.
자 그럼 주식이란?
기업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 주식회사가 자본금에 대해 발행한 증권을 이야기 합니다.
주식은 고위험 자산으로 원금이 보장되지 않죠.
금리가 높아지면 주가가 하락하게 되기때문에 ( 하락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복잡하니 패쓰하고 설명할게요 )
사람들은 더더욱 달러나, 은행 예금 같은 안전자산을 선호가게 되는 겁니다.
그렇게 되면 계속해서 시중의 통화량이 줄어들고, 기업은 큰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죠.
금리가 인상되면 이렇게 악순환이 계속되는데
도대체 왜 왜 왜 금리를 인상하는 걸까요?
금리는 중앙은행이 경기와 물가, 그리고 통화량을 가장 효과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인데요.
코로나 펜데믹 이후
이 나라 저 나라 침체되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일시적으로 금리를 낮췄던지라
그동안 시장에 화폐량이 원활했었고, 계속해서 올라가는 물가를 잡기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었던거죠.
이러한 시장 경기와 물가, 금리인상 현상은 경제 사이클에서 피할 수 없이 수시로 반복되는 패턴입니다.
저 역시도 물가가 너무 인상되니 지출이 줄어들고
은행의 전세자금 이자도 1.6배나 올라라고,, 곧 2배가 되겠죠?
이렇게 금리가 인상되니 월급 외에 다른 수입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조금이라도 더 벌기 위해 온라인쇼핑 초보셀러의 길을 걸어보게 된 케이스예요.
저는 2022년 9월 1일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를 개설
직장에서 받는 월급외에 순수익 100만원을 목표로 또 다른 수입원을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어떤 노력을하고 있나요?
쓸모없는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것은 물론이겠지만
경제적으로 여유로워지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다면 하단의 공감(좋아요)와 댓글을 남겨주세요.
다음 포스팅을 준비하는 제게 큰 힘이 됩니다.
온라인쇼핑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초보셀러 식빵이의 한달 성장기록도 한번 들렀다가세요 :)
https://healthybread.tistory.com/22
커머스리포트 - 위탁판매 셀러 투잡몬 한달 후 기록
온라인쇼핑몰 투잡몬 한달의 기록 안녕하세요 :) 저는 직장생활 8년차 + 스마트스토어 운영 2개월차 식빵이 입니다. 5월 사업자를 내고, 이래저래 유튜브와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하는 시간을 쪼
healthybread.tistory.com
'잡다한 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이과세자 폐업신고 홈택스에서 간단하게 해결 (0) | 2022.10.05 |
---|---|
스마트스토어 명의변경 양도양수 방법 (1) | 2022.10.05 |
클래스101 연간구독 (1) | 2022.09.29 |
듀얼모니터 배경화면 각각 서로 다른 화면 설정 방법 (0) | 2022.09.22 |
소속사와 레이블 차이점 (0) | 2022.09.19 |
댓글